2025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전
주관: 문화예술원
일시:
2025. 07. 01 (Tue) - 2025. 07. 05 (Sat)
10:00~22:00
10:00~22:00
장소:
파워플랜트
요금: 무료
문의: zzoeune@snu.ac.kr

행사 설명
건축과 도시는 언제나 인간 삶과 문명, 문화의 배경과 바탕이 되어 왔다. 그렇다면 건축을 배경삼는 작금의 시대는 어떠한가. 전시는 현 시대를 지구적 위기의 시대로 규정한다. 환경문제, 양극화 문제, 기아 문제, 갈등과 전쟁, 인구 감소 등 인류가 맞닥뜨린 위기는 종의 존립을 위협할만큼 심각하다. 이 위기로 가득찬 시대의 건축은 어떠해야 하는가? 위기를 완화하고 풀어내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인가? 아니면 부지불식중에 위기를 가중시킬 것인가?
접근성 정보
공간, 프로그램, 정보 접근성 등 상세 정보를 펼쳐서 확인해주세요.
공간 접근성
- 장애인 주차장 이용 가능
- 장애인용 화장실 칸 사용 가능
- 장애인 전용 화장실 사용 가능
- 휴식공간(Panic Zone) 이용 가능
- 경사로와 엘리베이터 설치
- 휠체어 이동 가능
- 수동 휠체어 구비
- 장애인 비상 대비 방법 안내
- 점자 블록 미설치
- 점자 촉지 안내도 설치
- 안내견 동반 입장 가능
접근성 지원
- 쉬운말(Easy-Read) 미지원
- 장애인 전용 좌석 있음
- 휠체어 전용 좌석 있음
- 자막 및 자막 해설 미지원
- 수어 통역 및 영상 미지원
- 진동 감각 기계 미지원
- 보청기용 헤드셋 제공 미지원
- 큰 글자 인쇄물 미지원
- 점자 인쇄물 미지원
- 개방형 및 폐쇄형 음성 해설 미지원
- 터치 투어 미지원
프로그램 접근성
- 기획팀이 프로그램 기획 시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음
- 접근성 담당자가 없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않음
- 접근성 관련 장애 당사자의 모니터링을 받지 않음
- 프로그램에서의 자율적인 선택 불가능
정보 접근성
- 행사 정보의 청각적 도움 미지원
- 행사 정보의 시각적 도움 미지원
- 행사 정보의 쉬운말 미지원
- 행사 예약, 취소, 리마인드 방식에 접근성이 고려되지 않음
의사소통 접근성
- 안내데스크가 없거나 찾기 어려움
- 안내데스크에 장애인 지원을 위한 도구가 없음
- 현장에 장애인 지원을 위한 안내원이 없거나, 잘 보이지 않음
- 장애 관객과의 소통을 위한 온라인 채팅방이 없음
- 현장 스태프가 장애 유형별 기본 의사소통 방법을 교육받지 않음
미학적 접근성
- 다양한 감각을 통한 미적 경험 미제공
- 접근성 요소가 기능적 역할 외 고유한 미적 요소를 지니지 않음
- 장애 당사자의 적극적인 행사 참여 불가능
- 설치물의 다양한 눈높이 미지원
접근성 정보란?